반응형
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문서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특정 셀로 이동해야할 때가 있습니다. 이 경우에는 어떻게 이동해야하고, 어떻게 행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을 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엑셀 이름 정의 활용
엑셀의 이름 상자에 이름을 넣어 추후 다른 시트로 이동했을 때 바로 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.
이 때 주의사항이 있습니다.
- 셀 주소(A14,B14등)은 이름 정의가 어렵습니다.
- 대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.
- 이름에는 띄어쓰기가 불가합니다. 띄어쓰기가 필요할 경우 언더바_를 이용합니다.
- 숫자로 이름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.
셀에 마우스를 가져다 댑니다.
이름 상자에 원하는 이름을 지정하고(_안녕_03으로 지정), 이름을 지정하고 나면 다른 시트로 이동했어도 위의 이름상자에서 지정한 이름을 클릭했을 경우, 해당 셀로 이동합니다.
이 때 만약 지정된 이름 정의를 삭제하고자 하신다면 수식> 이름 관리자 > 삭제를 통해서 삭제도 가능합니다.
2. 행 높이 조절
다음으로 행 높이 조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셀 선택으로 조정합니다. 행간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행의 셀을 선택한 다음 마우스 우 클릭 > 행 높이> 간격 조정으로 진행합니다.
만약 행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싶다면 마우스 우클릭 > 셀서식에서 진행 가능합니다. 또 빠르게 변환 지정하고 싶다면, 변환할 라인을 모두 선택 > 경계선을 더블 클릭해주시면 됩니다.
반응형
'exc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제거하는 방법 (0) | 2024.03.14 |
---|---|
엑셀 자동 복구 파일 위치 폴더 및 문서 복구 (0) | 2024.03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