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엑셀 작성을 주로 하다보면 데이터 베이스가 사라졌을 때의 당황스러움은 정말 이루말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. 엑셀이 갑자기 사라졌을 때 당황하는 문서를 한 번도 저장하지 않았을 때와 설정한 자동저장 간격에 따라 각각의 파일을 찾을 수 있는 위치가 다릅니다. 오늘은 문서 복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, 어떻게 찾아야 하는 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) 한 번도 저장하지 않았을 때 자동 복구 파일 복구 위치
저장은 한 번도 하지 않았는데 문서 파일이 갑자기 사라졌다면 홈 > 열기> 통합문서 하단의 저장되지 않은 통합문서복구 버튼을 눌러주시면 임시 저장된 문서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.
2) 엑셀 자동 복구 파일의 위치 확인 방법
자동 저장 옵션을 통해서 시간 간격을 설정해놓은 문서를 복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시간 간격이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복구가 불가할 수 있으니 초기 설정 시에 시간 간격을 5~10분 단위로 설정해주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. 마찬 가지로 홈 > 옵션 > 저장 >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 설정 & 자동 복구 파일 위치 확인해주시면 됩니다. 복구 파일 위치에 가시면 자동으로 복구된 파일들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exc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이름 정의 활용 및 행 높이 조절 (0) | 2024.03.15 |
---|---|
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제거하는 방법 (0) | 2024.03.14 |
댓글